구글 <애드센스> 광고를 달게 되었다고 끝난 게 아니다. 앞으로도 할 일은 첩첩산중!
그 중에서도 구글 <애드센스>로부터 수익을 받으려면 가장 먼저 계정 보안을 위해 주소를 확인하는 절차를 밟아야 하는데, 이 과정이 바로 주소 확인 핀(PIN) 번호를 받는 것이다.
구글 <애드센스> 광고를 게재하고 나서 수익금이 총 10달러(약 1만원)가 넘으면, (내가 보내 달라고 신청하는 게 아니라) 구글에서 자동으로, 구글 <애드센스> 승인 요청할 때 등록한 본인 주소로, 주소 확인 핀(PIN) 번호를 우편물에 담아 발송한다.
뭐랄까... 앞으로 광고 수익이 나면 그걸 내가 너한테 부쳐 줘야 하는데 네가 정말 거기 사는지 확인 좀 시켜 줄래? 정도의 의미쯤 될까...?
구글 <애드센스>에 접속했을 때, 상단에 [주소를 확인하지 않아 지급이 보류 중입니다.]라는 메시지가 뜨면 주소 확인 핀(PIN) 번호가 담긴 우편물이 구글로부터 등록 주소지로 발송되었다는 뜻이다.

주소 확인 핀(PIN) 번호에 대해 구글 도움말을 살펴보면, 대개 2~4주 이내에 도착한다고 되어 있는데, 요즘 같이 코로나19 등의 예기치 못한 일이 있을 경우에는 더 늦어질 수도 있다고 하니, 넉넉하게 한 달 이상의 기간을 잡고 기다리면 될 것 같다.
주소 확인 핀(PIN) 번호가 담긴 우편물을 받고 나면 4개월 이내에 <애드센스>에 핀(PIN) 번호를 등록해야 한다. 그렇지 않으면 광고 게재가 중단된다.

대략 한 달쯤 지났을까? 이제나 저제나 하고 기다리던 차에 구글에서 우편물이 하나 날아왔다. 주소 확인 핀(PIN) 번호가 담겨 있는 바로 그 우편물이었다!
오오오, 바다를 건너온 우편물이라 그런가, 뭔가 중요해 보이고 또 뭔가 폼나 보이네....


우편물에 적혀 있는 대로 네 군데의 모서리 부분을 먼저 제거한 다음 열어 보면, 6자리의 주소 확인 핀(PIN) 번호와 함께 핀(PIN) 번호 등록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.

우편물에 제시되어 있는 핀(PIN) 번호 등록 방법보다, 다음 구글 <애드센스> 도움말에 나타나 있는 핀(PIN) 번호 등록 방법이 좀 더 간편하다.

구글 <애드센스> 도움말에 따라 주소 확인 핀(PIN) 번호를 등록해 보자.
구글 <애드센스>에 접속하면 아직도 상단에 [주소를 확인하지 않아 지급이 보류 중입니다.]라는 메시지가 떠 있고, 그 아래에 [청구서 수신 주소 확인]이라는 핀(PIN) 확인 카드가 있는데, 이 카드에서 [확인]을 클릭한다.

그러면 바로 핀(PIN) 번호를 등록할 수 있는 카드가 뜨는데, 여기 [내 PIN]이라고 되어 있는 빈칸에다 우편물에 적혀 있던 핀(PIN) 번호를 입력한 다음, [제출]을 누르면 끝!

핀(PIN) 번호가 제대로 입력되었으면 다음과 같이 [PIN이 올바르게 입력됨]과 더불어 [청구서 수신 주소가 인증되었습니다.]라는 메시지가 뜬다.

이제, 나 여기 등록한 주소지에 살고 있는 거 확인했지? 그러니까 이리로 광고 수익금 보내 주면 돼! 라고 구글에 신고한 셈이 되는 것이다.
하지만 핀(PIN) 번호를 등록하게 되었다고 해서, 그 즉시 광고 수익금을 신청할 수 있는 건 아니다.
실제로 통장에 광고 수익금을 받으려면 광고 수익금 총액이 100달러를 넘어야 한다.
말이 100달러지, 정말 쉽지 않다. 언제쯤이면 수익금을 신청할 수 있을까....
'블로그에 광고를?' 카테고리의 다른 글
<티스토리>에 넣을 <애드센스> 광고 만들기 (0) | 2020.03.04 |
---|---|
구글 <애드센스> :: 2차 도전 :: 승인 :: <애드센스> 필승 전략 (7) | 2020.03.02 |
구글 <애드센스> :: 1차 도전 :: 승인 거절 (1) | 2020.03.02 |
네이버 <애드포스트> :: 신청 및 수익 :: 이게 뭐래? (0) | 2020.02.15 |
다음 <애드핏> :: 신청 및 승인 :: <애드핏> 광고 달기 (0) | 2019.10.03 |